오직 믿음으로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nomos]을 파기하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그런즉 이 복이 할례자에게냐 혹은 무할례자에게도냐 무릇 우리가 말하기를 아브라함에게는 그 믿음이 의로 여겨졌다 하노라 그런즉 그것이 어떻게 여겨졌느냐 할례시냐 무할례시냐 할례시가 아니요 무할례시니라"(롬 3:31; 4:9- 10).
사도 베드로는 바울의 편지를 "성경"(벧후 3:16)이라고 부름으로써 신성한 영감을 분명히 확인했지만 오해의 위험에 대해서도 우리에게 경고합니다. 로마서 3장 31절 한 절은 문맥과 분리하면 쉽게 오해할 수 있는 구절입니다. 바울이 "율법을 굳게 세우는 것"에 대해 말할 때 그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어떤 이들은 신자들(유대인과 이방인)이 믿음으로 구원을 받지만 모세의 율법(즉, 시내산 언약 하에서 삶에 요구되는 법적 의무)을 지킴으로써 그들의 믿음을 입증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이 구절을 사용했습니다. 토라/율법( nomos)이라는 단어는 성경에서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때때로 이것은 시내산 언약의 율법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도 하지만(예: 롬 4:15), 다른 때에는 모세오경 전체를 언급하기도 합니다(예: 눅 24:44). 로마서 3장 31절에 있는 노모스(nomos)의 의미는 바울이 로마서 4장 1-25절에서 아브라함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아주 분명해집니다. 바울은 토라(모세오경 전체)에 호소함으로써 복음을 변호하고 있습니다. 토라에 따르면, 아브라함은 할례를 받기 전에(창세기 17장) 믿음만으로 의롭게 되었습니다(창세기 15장). 그러므로 토라(모세오경)는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에 대한 바울의 복음을 확증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다른 방식으로 말할 수도 있습니다. 바울의 복음은 토라의 메시지를 확증하거나 굳게 세웁니다(적절하게 해석함). 우리는 모세를 무시하고 예수를 믿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모세 때문에 예수님을 믿습니다(마 5:17; 눅 24:44; 요 5:45-46 참조)!
“예수 그리스도의 종 바울은 사도로 부르심을 받아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택정함을 입었으니 이 복음은 하나님이 선지자들을 통하여 그의 아들에 관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이라”(롬 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