찔린 목자
“내가 다윗의 집과 예루살렘 주민에게 은혜와 간구하는 심령을 부어 주리니 그들이 그 찌른 바 나를 바라보고 그를 위하여 애통하기를 독자를 위하여 애통하듯 하며 그를 위하여 통곡하기를 장자를 위하여 통곡하듯 하리라”(슥 12:10).
이 구절은 신비합니다. 왜 1인칭으로 말씀하시던 하나님(9절 참조)이 갑자기 “나”(그들이 나를 바라볼 것)에서 “그”(그를 위하여 애통할 것)로 옮겨가시는 것일까요? 더 큰 맥락만이 대명사의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스가랴 11장 4절에서, 하나님은 알려지지 않은 목자에게 운명의 양떼를 돌보라고 말씀하십니다(7절 참조). 그러나 스가랴 11장 10절에서 이 목자는 하나님의 음성을 취하여 하나님 자신으로 말합니다. “이에 은총이라 하는 막대기를 취하여 꺾었으니 이는 모든 백성들과 세운 언약을 폐하려 하였음이라.” 스가랴 13장 7절에서 하나님은 목자를 치는 칼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칼아 깨어서 내 목자, 내 짝 된 자를 치라 목자를 치면 양이 흩어지려니와 작은 자들 위에는 내가 내 손을 드리우리라.'” 스가랴 11장에서 이 신비한 목자는 이중 신분을 가지고 있으며 스가랴 13장에서 그는 하나님의 가까운 동반자로 불립니다. 그러므로 스가랴 12:10으로 돌아가서 우리는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그”가 이중 신분(하나님의 동료이자 하나님 자신)을 가진 이 신비하고 찔린 목자임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언젠가는 그의 백성을 위해 싸울 사람이 바로 이 목자입니다(슥 14:3-4). 그리고 그 날에 이스라엘과 온 세상이 이 목자이신 왕을 우주의 주님으로 알고 경배하게 될 것입니다!
“여호와께서 천하의 왕이 되시리니 그 날에는 여호와께서 홀로 한 분이실 것이요 그의 이름이 홀로 하나이실 것이라”(슥 1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