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OFI KR GOLD.png

 이스라엘의 미크베:우리의 산 소망

"가뭄에 대하여 예레미야에게 임한 여호와의 말씀이라 유다가 슬퍼하며 성문의 무리가 피곤하여 땅 위에서 애통하니 예루살렘의 부르짖음이 위로 오르도다 귀인들은 자기 사환들을 보내어 물을 얻으려 하였으나 그들이 우물에 갔어도 물을 얻지 못하여 빈 그릇으로 돌아오니 부끄럽고 근심하여 그들의 머리를 가리며… 이스라엘의 소망이시요 고난 당한 때의 구원자시여 어찌하여 이 땅에서 거류하는 자 같이, 하룻밤을 유숙하는 나그네 같이 하시나이까" (렘 14:1-3, 8).


번역된 성경에서 언어유희를 포착하기는 늘 어렵지만, 히브리어 성경에서 그 아름다움은 설명할 가치가 있습니다. 예레미야 14장에서 예레미야는 이스라엘 땅에 닥친 끔찍한 가뭄을 묘사합니다. 신명기에 의하면 가뭄은 시내산 언약의 조건을 지키지 못한 직접적인 결과였습니다(신 28:23-24).


이 맥락에서 예레미야가 하나님을 "이스라엘의 소망"이라고 언급한 것이 히브리어 원문에서는 특히 두드러집니다. 이 단어의 어휘적 어근(קוה 카바)은 "희망하다"(렘 14:19, 22 참조)를 의미할 수 있지만 "모으다"(창 1:9)를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장소나 출처를 묘사하는 히브리어 명사는 종종 접두사 멤(מ)이라는 자음을 추가하여 형성됩니다. 이 문법적 형태는 현대 히브리어에서도 여전히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식사를 하다"(סעד 사아드)라는 어근에 멤(מ)을 추가하면 미스아다(מסעדה)라는 단어는 식사 장소, 즉 식당을 의미합니다.


히브리어 어근 카바(קוה)에 멤(מ)을 더하면 근원 또는 장소를 뜻하는 두 개의 명사가 형성됩니다. 미크베(מקוה)는 "물을 모으는 곳"(창 1:10; 출 7:19; 레 11:36)을 의미할 수도 있고, "희망의 근원"(תקוה 티크바)(렘 17:13; 스 10:2; 대상 29:15)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예레미야의 언어유희의 탁월함을 볼 수 있습니다.


육체적인 갈증은 몸이 우리를 물의 근원으로 이끄는 방식입니다. 반면 우울증은 종종 절망감으로 나타납니다. 성경에 따르면, 이러한 영혼의 내적 갈증은 결코 마르지 않는 근원에서 희망을 구함으로써만 충족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육체적 탈진과 목마름에도 마르지 않는 유일한 근원은 예레미야가 이스라엘의 미크베라고 부르는 그 분입니다.


ree

댓글


man%2520standing%2520under%2520orange%25

예수님의 이름으로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최고의 방법

THE BEST WAY TO BLESS ISRAEL IS WITH JESUS

원포이스라엘의 모든 사역이 여러분들의 후원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더 많은 이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OFI logo2.png

Tel : +972-9-8611013

David Pinkas St 47, Netanya, ISRAEL

COPYRIGHT © 2021 BY ONE FOR ISRAEL - ALL RIGHTS RESERVED
  • 화이트 유튜브 아이콘
  • Instagram
bottom of page